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nodejs
- 딥러닝
- ipad
- 국제인공지능대전
- react
- tensorflow
- 키체인
- NPM
- Running
- NRC
- 6일차
- AI엑스포
- 파일이름
- 따릉이
- Nike
- 단당류
- create-react-app
- 리액트
- 화학구조
- AI 전시
- AI 회사
- 달리기
- 2022 AI EXPO
- 텐서플로우
- 연구
- 런데이
- 러닝
- 달리는사이
- 키체인초기화
- npx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화학구조 (1)
Tomato's BLOG

단당류를 외우는 것은 너무나 험난한 일이다. 다 비슷하게 생긴게 이름은 너무나 다르다. 그래서 이진수로 외우는 법을 고안해봤다. D-Allose를 예를 들어보면, chiral center로 가능한 탄소 중, L과 D를 구분하는 가장 아래 탄소를 제외하고 번호를 붙인다. 그림에서 위쪽 빨간 탄소를 0, 1, 2로 이름을 붙이면 된다. 그럼 번호가 이진수의 자리 수가 되어서 하이드록시기(-OH)가 오른쪽에 있는지, 왼쪽에 있는지에 따라 이진수를 만들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OH가 오른 쪽에 있을 때 0으로 표기하기로 정했다면, (당 이름) = (이진수) = (십진수) Allose = 000 = 0 Altrose = 001 = 1 Glucose = 010 = 2 Mannose = 011 = 3 Gulose ..
연구&공부/기타
2021. 6. 13. 15:33